디자인도 이쁘고,,다 좋은데,,,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는점과,,,재생안돼는 파일이 있따는점이,,
뭐 wma같은경우는 바꾸주지만,,
이번에 스즈키아미 신곡,,,다운받아서 넣을려고하니까 안넣어져서
딴곳에서 다운받아도 똑같아서;;,,
acc변환인가?해보니까 해도 안되더라구요,,;;변환자체가 아예안되는듯;;
이거 아이포드만 그런건가요??아니면 mp3전부가그러는건가;;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는점과,,,재생안돼는 파일이 있따는점이,,
뭐 wma같은경우는 바꾸주지만,,
이번에 스즈키아미 신곡,,,다운받아서 넣을려고하니까 안넣어져서
딴곳에서 다운받아도 똑같아서;;,,
acc변환인가?해보니까 해도 안되더라구요,,;;변환자체가 아예안되는듯;;
이거 아이포드만 그런건가요??아니면 mp3전부가그러는건가;;
현 5세대까지 계승되온 아이팟도 물론 뭐 원래 그런 류의 MP3P였구요. 하지만 wma을 직접적으로 취급하지 않는 이유는 맥킨토시 소유의 애플사의 제품이기 때문이죠 (별 관계없는 의견이지만 MS사가 그래픽 진보와 상용에서 응용의 변화를 가져다 오지 않았다면, 사실 과거에 맥킨토시라는 신류물에 졌을텐데 말이죠).
뭐 결론적으로 MP3P는 이름 그대로 mp3 파일을 플래이하는 역할을 하는 기기라는 것입니다. 휴대용 플래이어에 가장 적합하기도 하고, 가장 응용성이 뛰어나다고 인정받은 것이 mp3라는 파일블럭이거든요.
그래도 아마 얼마 안지나서는 MP3P가 아닌 그야말로 웬만한 확장자명의 플래이 기능이 가능한, 아니 확장자명과 상관없이 자체 변환이 되어 플래이가 가능한 DMP가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쓰다보니 썼던 글이 서문이었는 것 같네요(!!).
일단 확장자명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mp3로 확장자명 변환한 뒤에 파일 넣으셔도 괜찮지 않을까요 (알고 계신 내용이라면 죄송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