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의남자의 팬이 아닌, 왕의남자를 하나의 비교대상으로서 설정하고 쓴 것이니 오해하지 말아주세요. (최다관객수의 왕의남자랑 괴물을 많이 비교하지 않습니까...)
전 왕의남자도 괴물도 작품 그 자체로 보면 우리나라의 영화라는게 너무너무 자랑스럽습니다.
괴물... 물론 좋죠. 정말 좋습니다.
한국영화가 이정도로 발전했다는 걸 보여줘서 정말 대견할 정도죠.
배우분들의 완전소중한 연기도 너무너무 잘 봤습니다...
그리고 괴물CG... 정말 대단합니다.
(마지막이 좀 걸린다고 하신 분들, 그게 제일 잘 한겁니다. 몇번의 실험 결과 끝에 가장 사실적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알고 보니까 정말 사실적이더라구요...ㅎ)
근데 이런 얘긴 보신 분들도 저도 예전에 다 언급한 얘기니까... 넘어갑시다. 제가 말하려고 하는 건, 이런게 아니라...
과연 최단시간의 최다관객수는 괴물의 힘이냐 스크린수의 힘이냐입니다.
어쩌면 이 상태로 쭉 연장하다보면 괴물이 왕의남자를 제치고 또다시 기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솔직히 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왕의남자는 싫고 괴물은 좋고라서가 아니라, 기록은 누구 말마따나 깨라고 있는거죠. 그런 기록을 깨나가면서 우리나라의 영화는 더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니까요... 괴물이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왕의남자를 어떤 영화가 깨줬으면 좋겠고, 그 어떤 영화를 또 어떤 영화가 깨줬으면 좋겠고...
하지만 저의 핵심은, '최단시간'의 최다관객수라는거죠...
괴물도 500만을 보고, 왕의남자도 500만을 본다는 전제하에서 보면 스크린수가 더 많은 쪽이 최단시간 되는건 너무 당연한 거 아닌가요? 그건 아예 배제해버린 채 기사에서는 그냥 최단시간이라고만... 저도 처음엔 최단시간 내에 어쩌고저쩌고 할 때 '우와~'했었는데 알고보니 스크린수가 620개... 듣는순간 '뭐야'라는 말이 나왔습니다.-_- 말이나 됩니까 이게.
비교하고 있는 왕의남자 같은 경우엔, 처음엔 200개 정도에서 시작했습니다. 나중에 입소문 타면서 사람들이 많이 보기 시작하면서 400개 정도로 올렸구요...
이런 분들 계시겠죠.
괴물은 620개를 스크린수로 가져도 될, 그럴만한 영화다...
괴물이 그럴만한 영화다... 당연하죠. 잘 만들었으니까요.
하지만 전 이 주장이 전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600개는 너무 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으세요? 아무리 그럴만한 영화라지만 다른 영화를 생각해서라도 그러면 안되는거라고 봅니다.
뭐 기사를 보니까 원래는 700개를 넘기려고 했는데 효율성을 따져서 620개로 했다...라고 하는데 -_-...효율성으로 620개라니;;;
오히려 스크린 수를 줄여서 "스크린수가 이정도여도 괴물이라는 영화는 대단하다"라는 걸 보여줬다면 영화계에서도 '대단하다'라는 말이 나왔을지언정 '다 차지한다'라는 식의 말은 나오지 않았을겁니다.
이래놓고 무슨 스크린 쿼터제 폐지 반대라는 얘기가 나와도 '자기 밥그릇 챙긴다'라는 말을 더 퍼뜨리게 만들 뿐이라는 생각마저 드네요. 솔직히 전 김기덕 감독의 말도 이해가 됐습니다. 제 생각엔 저건 김기덕 감독만이 말하고 싶었던 건 아닐거라고 봐요... 모든 감독이 저런 생각을 한번씩 해보지는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괴물은 저것만 아니었다면 제 머릿 속엔 '아주 약간 부족했지만 정말 잘 만든 영화'라는 좋은 영화로 남았을겁니다... (모든 영화가 조금씩은 부족하죠...ㅎ 캐리비안 같은 경우가 그나마 가장 완벽했는데 마무리가 조금... 하긴, 마무리가 깔끔했다고 할지언정 3편은 어김없이 봤겠지만^^;)
이건 아주 뻘글인데...
봉테일 감독, 앞으로도 좋은 영화 계속 만들어주시길...
전 왕의남자도 괴물도 작품 그 자체로 보면 우리나라의 영화라는게 너무너무 자랑스럽습니다.
괴물... 물론 좋죠. 정말 좋습니다.
한국영화가 이정도로 발전했다는 걸 보여줘서 정말 대견할 정도죠.
배우분들의 완전소중한 연기도 너무너무 잘 봤습니다...
그리고 괴물CG... 정말 대단합니다.
(마지막이 좀 걸린다고 하신 분들, 그게 제일 잘 한겁니다. 몇번의 실험 결과 끝에 가장 사실적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알고 보니까 정말 사실적이더라구요...ㅎ)
근데 이런 얘긴 보신 분들도 저도 예전에 다 언급한 얘기니까... 넘어갑시다. 제가 말하려고 하는 건, 이런게 아니라...
과연 최단시간의 최다관객수는 괴물의 힘이냐 스크린수의 힘이냐입니다.
어쩌면 이 상태로 쭉 연장하다보면 괴물이 왕의남자를 제치고 또다시 기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솔직히 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왕의남자는 싫고 괴물은 좋고라서가 아니라, 기록은 누구 말마따나 깨라고 있는거죠. 그런 기록을 깨나가면서 우리나라의 영화는 더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니까요... 괴물이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왕의남자를 어떤 영화가 깨줬으면 좋겠고, 그 어떤 영화를 또 어떤 영화가 깨줬으면 좋겠고...
하지만 저의 핵심은, '최단시간'의 최다관객수라는거죠...
괴물도 500만을 보고, 왕의남자도 500만을 본다는 전제하에서 보면 스크린수가 더 많은 쪽이 최단시간 되는건 너무 당연한 거 아닌가요? 그건 아예 배제해버린 채 기사에서는 그냥 최단시간이라고만... 저도 처음엔 최단시간 내에 어쩌고저쩌고 할 때 '우와~'했었는데 알고보니 스크린수가 620개... 듣는순간 '뭐야'라는 말이 나왔습니다.-_- 말이나 됩니까 이게.
비교하고 있는 왕의남자 같은 경우엔, 처음엔 200개 정도에서 시작했습니다. 나중에 입소문 타면서 사람들이 많이 보기 시작하면서 400개 정도로 올렸구요...
이런 분들 계시겠죠.
괴물은 620개를 스크린수로 가져도 될, 그럴만한 영화다...
괴물이 그럴만한 영화다... 당연하죠. 잘 만들었으니까요.
하지만 전 이 주장이 전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600개는 너무 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으세요? 아무리 그럴만한 영화라지만 다른 영화를 생각해서라도 그러면 안되는거라고 봅니다.
뭐 기사를 보니까 원래는 700개를 넘기려고 했는데 효율성을 따져서 620개로 했다...라고 하는데 -_-...효율성으로 620개라니;;;
오히려 스크린 수를 줄여서 "스크린수가 이정도여도 괴물이라는 영화는 대단하다"라는 걸 보여줬다면 영화계에서도 '대단하다'라는 말이 나왔을지언정 '다 차지한다'라는 식의 말은 나오지 않았을겁니다.
이래놓고 무슨 스크린 쿼터제 폐지 반대라는 얘기가 나와도 '자기 밥그릇 챙긴다'라는 말을 더 퍼뜨리게 만들 뿐이라는 생각마저 드네요. 솔직히 전 김기덕 감독의 말도 이해가 됐습니다. 제 생각엔 저건 김기덕 감독만이 말하고 싶었던 건 아닐거라고 봐요... 모든 감독이 저런 생각을 한번씩 해보지는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괴물은 저것만 아니었다면 제 머릿 속엔 '아주 약간 부족했지만 정말 잘 만든 영화'라는 좋은 영화로 남았을겁니다... (모든 영화가 조금씩은 부족하죠...ㅎ 캐리비안 같은 경우가 그나마 가장 완벽했는데 마무리가 조금... 하긴, 마무리가 깔끔했다고 할지언정 3편은 어김없이 봤겠지만^^;)
이건 아주 뻘글인데...
봉테일 감독, 앞으로도 좋은 영화 계속 만들어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