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집에 일본어 문제집이 있길래~
심심하기도 해서 풀어봤는데....
다 그런것은 아닌데 대부분이 히라가나로 표기되어 있었어요.
(외국인이 공부하기엔 한자로 표기하면 보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해서 히라가나로 많이 표기한것 같습니다만..)
예문에도 다 히라가나로 표기되어 있고...
확실히 읽는거나 해석하기에 불편함이 따르더라구요.
(한자로 읽는다고 해서 어떤 한자든 일본어로 읽을 수 있는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한자로 되어 있으면 해석하기엔 좋더라구요.
예전에 "일본인은 히라가나로만 적혀있는 글을 보면 이해하기 힘들어한다"(아예 이해 못하는것은 아니지만)란
말을 들은 기억이 있는데... 그 말이 맞는것 같아요.
한자가 없으면 분명 이해하는 것이나 해석이 힘들어지네요.
그래서 여기서 얻은 교훈은.. 역시 한자를 많이 알아야겠다는 것...
그리고 일본어를 많이 접해서 한자를 일본어로 읽어야겠다는 것... 이네요.
여러분들도 히라가나로만 표기하기보단 한자가 있어야 해석하기 편하다는것에 공감하시나요?
심심하기도 해서 풀어봤는데....
다 그런것은 아닌데 대부분이 히라가나로 표기되어 있었어요.
(외국인이 공부하기엔 한자로 표기하면 보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해서 히라가나로 많이 표기한것 같습니다만..)
예문에도 다 히라가나로 표기되어 있고...
확실히 읽는거나 해석하기에 불편함이 따르더라구요.
(한자로 읽는다고 해서 어떤 한자든 일본어로 읽을 수 있는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한자로 되어 있으면 해석하기엔 좋더라구요.
예전에 "일본인은 히라가나로만 적혀있는 글을 보면 이해하기 힘들어한다"(아예 이해 못하는것은 아니지만)란
말을 들은 기억이 있는데... 그 말이 맞는것 같아요.
한자가 없으면 분명 이해하는 것이나 해석이 힘들어지네요.
그래서 여기서 얻은 교훈은.. 역시 한자를 많이 알아야겠다는 것...
그리고 일본어를 많이 접해서 한자를 일본어로 읽어야겠다는 것... 이네요.
여러분들도 히라가나로만 표기하기보단 한자가 있어야 해석하기 편하다는것에 공감하시나요?
순우리말만 쓰면 알아듣기 힘든거랑은 약간 다르지만,
비슷한 맥락이라 봅니다.
우리나라의 언어에서도 한자는 없어서는 안될것이 되버렸죠..
훈민정음 창제에 감사할 따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