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요즘에 나름대로 화두가 되고 있는 일본어체...
보다 보니까 한도 끝도 없이 나오는데 그거 보니까 전 글을
쓰면 안되겠더라구요. 아주 사소한 부분까지 뭐라고 하고 '이
게 왜 일본어체인가' 라는 의문을 제기하게 하는 부분도 한두
가지가 아니어서요. 지적할 거면 대체할 만한 우리 문구를 가
르쳐 주던가요. 뭐, 안 가르쳐 주니까 우리 다같이 연구하자
구요.
1. 글, 코멘트, 닉네임 뒤에 불필요하게 일본식 호칭을 붙이는 경우
☞글, 코멘트, 닉네임의 뒤에 불필요하게 ‘군’,‘짱’,‘상’,‘사마’등을 붙이는 경우
ex)하마사키 아유미→아유상, 아유쨩
아무로 나미에→아무로상, 아무로쨩
: 다른 건 다 상관 없습니다. 그런데 '군'을 쓰지 않으면 뭐를 쓰라
는 거지요? '쿤'도 아니고 우리식 발음인 '군'인데. 예를 케이타를
지칭할 때 전 평소 케이타군이라고 쓰는데 그러면 이제 고쳐야 하
니까 '케이타오빠♡' 이러고 쓰나요;; 아님 좀 건방지게 반말로 '케
이타' 이렇게 써야 하나요? 저걸 보니까 '양'은 되는 것 같더군요.
그럼 '케이타양' 이라고 쓰라는 건가...뭐, 이 부분을 다같이 연구
해봅시다.
3. 의성어, 의태어를 필요없는 곳에 사용하는 경우
ex) 나는 스타를 꽤 하죠 -> 훗..나는 스타를 꽤 하죠.
안됐네요 -> ..쯧..안됐네요..
자주 쓰이는 표현 : 훗, 으음, 털썩, 컥, 버럭, 오옷! 꺄~
: 전 이거 보면서 그 생각 했습니다. '아~이모티콘 남발하란 소리
구나...' 라구요. 의성어나 의태어...솔직히 감정을 더 극대화시
키기에 좋다고 보고 있구요. 그럼 의성어랑 의태어 대신 이모티
콘을 마구 남발해주어야 옳은 것인지, 한번 연구해봅시다.
7. 혼잣말을 하는 경우
☞남에게 내용을 전달할 때도 혼잣말 할 때처럼 말하는 경우
ex) 이제 집에가야 되겠네요 -> 이제 집에가야되는 것인가요? 에휴.. 가기 싫은데 집에가면 공부도 해야되고..;;;
ex) 간달프가 엘프족이 되었다는군요.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 간달프가 엘프의 일족이 되었다...라는 건가요? ...아..이제 어떻게 되는거지..;;; 혼란스러워진다..
: 평소에 타인과 대화하면서 저런 혼잣말 중얼거리면 당연히
웃기겠죠. 하지만 인터넷은 얼굴도 보이지 않고 특히 요즘엔
코멘트가 대세인데 저런 식의 혼잣말이라도 쓰지 않으면 지
극히 표면적인 말만 전달 되는 거 아닌가요? 그냥 용건만 쓰
라는 건가요? 아님 또 이모티콘? 물론 위의 긍정적인 예처럼
쓸 수도 있겠지만 저렇게만 쓸 수 없는 상황도 분명 닥쳐오는
데 그러면 도대체 어떻게 쓰라는 건지;; 아, 코멘트 안 쓰면
되는 건가요? 연구해봅시다.
10. 말더듬는 경우
ex) 이것이 진정한 남자!! -> 이..이것이 진정한 남자인가!!
당신은 천재입니까? -> 처...천재...?
우와 멋있다 -> 머..머...멋져
'헉 무뇌춘이잖아(털썩)' '허어어어
어억....무....무뇌춘이잖아..;;;(패닉상태)'
: 정말 당황하거나 어이없을 때...대부분 사람들, 말 확실하
게 할 수 있습니까? 못하죠. 대부분. 진짜 강철이성이 아닌
이상 말입니다. 어떻게 보면 더듬거리는 게 현재 자신의
감정 상태를 반영하는 건데..그러면 다른 나라에서도 더듬
거리는 체 쓰면 다 일본어 체이겠네요. 어쨌든 연구해봅시다.
13. 추축하듯 말하는 경우
ex) 저 사람은 계속 게임만 했어요 -> 저 사람은 계속 게임만 한듯.......
말이 좀 심하시네요 -> 말이 좀 심한 것 같은...
이상한 사람들이네요 -> 이상한 사람들인 것 같은...
이거 참 맛있네요 -> 이건 참 맛있는 것 같은...
: 제가 보기엔 이 부분은 위의 긍정적 예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
'~한듯' 이 체가 썩 좋은 건 아니죠. 그런데 저사람 계속 게임만
한 거 아니면 어쩔겁니까. 위의 저 예들은 무언가를 확신한다는
듯이 써놓아서 자칫하면 오해를 부를 것 같네요. 그러면 정말
추측해야 할 상황일 때는 어떻게 써야 할까요? '저 사람은 계
속 게임만 한 것 같아요.' 이렇게 써야 하나요? 다른 게 또 있으
면 연구해 봅시다.
★자기가 얘기하고 자기가 먼저 반응하는 경우.
ex) 개가 고양이가 되었데요 -> 개가 고양이가 되었...(퍽)
저는 공부를 아주 좋아해요 -> 저는 공부가 아주 좋다는..(그럴리가 없잖아!!)
-> 저는 공부가 아주 좋다는..(먼산)
인형 참 이쁘다.. 사고 싶네 -> 오옷!! 저 인형 정말 카와이하네 (가지고 싶어요!!)
저 사람 자꾸 오락만하네. 여기서 살려고 하나.. -> 저 사람 자꾸 오락만하는군 (여기서 살생각이냐!!!)
: 평소에 오프라인에서 이렇게 얘기하면 당연히 웃기는 놈 되겠죠.
하지만 여기는 온라인이고 전달되지 않는 건 분명히 있기 마련입니다.
괄호 안에 일정적인 액션을 나타내는 구문을 넣어줌으로써 표면적인
느낌을 탈피할 수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그럼 이 느낌을 대신할
만한 우리 문구는 뭐가 있을까요? 같이 연구해봅시다.
이상으로 끝. 다들 코멘트에 제가 의문을 제기한 문체들을 대신할만할
명쾌한 해답들을 달아주세요. 저는 언어학에 대해 무지해서 이런 의문
을 제기할 능력 외에는 없네요-_-;;
보다 보니까 한도 끝도 없이 나오는데 그거 보니까 전 글을
쓰면 안되겠더라구요. 아주 사소한 부분까지 뭐라고 하고 '이
게 왜 일본어체인가' 라는 의문을 제기하게 하는 부분도 한두
가지가 아니어서요. 지적할 거면 대체할 만한 우리 문구를 가
르쳐 주던가요. 뭐, 안 가르쳐 주니까 우리 다같이 연구하자
구요.
1. 글, 코멘트, 닉네임 뒤에 불필요하게 일본식 호칭을 붙이는 경우
☞글, 코멘트, 닉네임의 뒤에 불필요하게 ‘군’,‘짱’,‘상’,‘사마’등을 붙이는 경우
ex)하마사키 아유미→아유상, 아유쨩
아무로 나미에→아무로상, 아무로쨩
: 다른 건 다 상관 없습니다. 그런데 '군'을 쓰지 않으면 뭐를 쓰라
는 거지요? '쿤'도 아니고 우리식 발음인 '군'인데. 예를 케이타를
지칭할 때 전 평소 케이타군이라고 쓰는데 그러면 이제 고쳐야 하
니까 '케이타오빠♡' 이러고 쓰나요;; 아님 좀 건방지게 반말로 '케
이타' 이렇게 써야 하나요? 저걸 보니까 '양'은 되는 것 같더군요.
그럼 '케이타양' 이라고 쓰라는 건가...뭐, 이 부분을 다같이 연구
해봅시다.
3. 의성어, 의태어를 필요없는 곳에 사용하는 경우
ex) 나는 스타를 꽤 하죠 -> 훗..나는 스타를 꽤 하죠.
안됐네요 -> ..쯧..안됐네요..
자주 쓰이는 표현 : 훗, 으음, 털썩, 컥, 버럭, 오옷! 꺄~
: 전 이거 보면서 그 생각 했습니다. '아~이모티콘 남발하란 소리
구나...' 라구요. 의성어나 의태어...솔직히 감정을 더 극대화시
키기에 좋다고 보고 있구요. 그럼 의성어랑 의태어 대신 이모티
콘을 마구 남발해주어야 옳은 것인지, 한번 연구해봅시다.
7. 혼잣말을 하는 경우
☞남에게 내용을 전달할 때도 혼잣말 할 때처럼 말하는 경우
ex) 이제 집에가야 되겠네요 -> 이제 집에가야되는 것인가요? 에휴.. 가기 싫은데 집에가면 공부도 해야되고..;;;
ex) 간달프가 엘프족이 되었다는군요.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 간달프가 엘프의 일족이 되었다...라는 건가요? ...아..이제 어떻게 되는거지..;;; 혼란스러워진다..
: 평소에 타인과 대화하면서 저런 혼잣말 중얼거리면 당연히
웃기겠죠. 하지만 인터넷은 얼굴도 보이지 않고 특히 요즘엔
코멘트가 대세인데 저런 식의 혼잣말이라도 쓰지 않으면 지
극히 표면적인 말만 전달 되는 거 아닌가요? 그냥 용건만 쓰
라는 건가요? 아님 또 이모티콘? 물론 위의 긍정적인 예처럼
쓸 수도 있겠지만 저렇게만 쓸 수 없는 상황도 분명 닥쳐오는
데 그러면 도대체 어떻게 쓰라는 건지;; 아, 코멘트 안 쓰면
되는 건가요? 연구해봅시다.
10. 말더듬는 경우
ex) 이것이 진정한 남자!! -> 이..이것이 진정한 남자인가!!
당신은 천재입니까? -> 처...천재...?
우와 멋있다 -> 머..머...멋져
'헉 무뇌춘이잖아(털썩)' '허어어어
어억....무....무뇌춘이잖아..;;;(패닉상태)'
: 정말 당황하거나 어이없을 때...대부분 사람들, 말 확실하
게 할 수 있습니까? 못하죠. 대부분. 진짜 강철이성이 아닌
이상 말입니다. 어떻게 보면 더듬거리는 게 현재 자신의
감정 상태를 반영하는 건데..그러면 다른 나라에서도 더듬
거리는 체 쓰면 다 일본어 체이겠네요. 어쨌든 연구해봅시다.
13. 추축하듯 말하는 경우
ex) 저 사람은 계속 게임만 했어요 -> 저 사람은 계속 게임만 한듯.......
말이 좀 심하시네요 -> 말이 좀 심한 것 같은...
이상한 사람들이네요 -> 이상한 사람들인 것 같은...
이거 참 맛있네요 -> 이건 참 맛있는 것 같은...
: 제가 보기엔 이 부분은 위의 긍정적 예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
'~한듯' 이 체가 썩 좋은 건 아니죠. 그런데 저사람 계속 게임만
한 거 아니면 어쩔겁니까. 위의 저 예들은 무언가를 확신한다는
듯이 써놓아서 자칫하면 오해를 부를 것 같네요. 그러면 정말
추측해야 할 상황일 때는 어떻게 써야 할까요? '저 사람은 계
속 게임만 한 것 같아요.' 이렇게 써야 하나요? 다른 게 또 있으
면 연구해 봅시다.
★자기가 얘기하고 자기가 먼저 반응하는 경우.
ex) 개가 고양이가 되었데요 -> 개가 고양이가 되었...(퍽)
저는 공부를 아주 좋아해요 -> 저는 공부가 아주 좋다는..(그럴리가 없잖아!!)
-> 저는 공부가 아주 좋다는..(먼산)
인형 참 이쁘다.. 사고 싶네 -> 오옷!! 저 인형 정말 카와이하네 (가지고 싶어요!!)
저 사람 자꾸 오락만하네. 여기서 살려고 하나.. -> 저 사람 자꾸 오락만하는군 (여기서 살생각이냐!!!)
: 평소에 오프라인에서 이렇게 얘기하면 당연히 웃기는 놈 되겠죠.
하지만 여기는 온라인이고 전달되지 않는 건 분명히 있기 마련입니다.
괄호 안에 일정적인 액션을 나타내는 구문을 넣어줌으로써 표면적인
느낌을 탈피할 수 있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그럼 이 느낌을 대신할
만한 우리 문구는 뭐가 있을까요? 같이 연구해봅시다.
이상으로 끝. 다들 코멘트에 제가 의문을 제기한 문체들을 대신할만할
명쾌한 해답들을 달아주세요. 저는 언어학에 대해 무지해서 이런 의문
을 제기할 능력 외에는 없네요-_-;;
영어는 세계 공용어다 뭐다 말씀하시면 할 말 없지만, 저는 일본과 미국 다를 게 없다고 보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