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02 추천 수 0 댓글 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FM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신곡을 행여 DJ의 멘트라도 섞일까 조심스레 카세트에 모으던 시절이 있었다.
그 곡이 마음에 들면 다른 넘버들을 듣기 위해 앨범을 사러 레코드점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정말 마음에 들면 친구를 위해 곡을 고이 편집해 건넸다. 그나마 더블데크 카세트를 가진 이들의 사치였다.

그러나 이 복고적 풍경은 사실 방송, 음반, 프로듀싱,
연예기획이라는 한솥밥 업계가 설정한 통제의 회로다.
밀리언 셀러가 양산되고, 업계는 이 회로가 재생산해내는 부를 향유했다.
기술은 이 회로를 뒷받침했고, 그 기술을 제어할 수 있었다.
카세트와 CD라는 완성된 기술은 문화에 충성을 다 했다.
더블데크라는 소박한 복제술은 애교일 뿐이었고, 길보드 카세트는 오히려 홍보 수단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 태평성대의 이면에서, 하수인이던 기술이 숨 가쁜 쿠데타를 일으키고 있음을
예측한 이는 많지 않았다.

맞닿은 이들에게 있어 갈등이란 언젠가는 일어 날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에는 다양한 충돌이 일어난다. 신문의 정치, 경제, 사회면을 장식하는 이슈들이란
결국 충돌에 대한 것이다. 충돌이란 피할 수 없는 일상이다.
문화와 기술의 충돌은 근래에 우리가 목격한 가장 충격적이고도,
한편 지루하게 이어지고 있는 충돌이다.

음악과 영화로 대표되는 문화가 IT와 충돌한 것이다.
이용의 대상일 줄만 알았던 기술이 어느새 문화의 적용 방식마저 바꾸려 하고 있으니,
이보다 더한 충돌이 어디 있으랴. 세상을 바꾸어 버리겠다는 IT의 파죽지세는
사회 곳곳을 파고들어 적잖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바, 문화라고 예외일 리 없었던 것.
P2P에 MP3에 DivX에, IT는 문화의 구조를 송두리째 위협하고 있다.

지금은 라디오에 귀 기울이지 않아도, 검색어 몇 마디면 고음질의 MP3가 하드디스크에 떨어져 내려온다.
곡이 마음에 들면 메신저 상의 여러 명의 친구들에게 가볍게 건넨다.
행동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의 문화 생활은 분명 편해졌다.
그러나 이 편리함의 비결이 당혹스럽다. 톨게이트가 걷히니 편리해진 것이다.
가치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즉 돈이 오가지 않기에 편리하다.
문화계에 있어 이는 충돌의 수준을 넘어 침공에 가깝다.

이미 CD 따위 거추장스럽다는 이들이 많다. 손가락만한 MP3 플레이어를 지닌 판국에
주머니에 들어가지도 않는 CD는 귀찮기만 할 뿐이다.
곧 카세트 테이프의 실물을 본적이 없는 세대가 출현 할 것이다.
기술의 진보란 거스를 수 없다. 음반 구입비는 어느새 통신비과 얼리어답터 활동비로 대체된다.

자기의 것이라고 생각해 온 무언가가, 더 이상 자기의 것이 아닌 것이 되었을 때 누구든 공황에 빠진다.
그 반응으로 법을 선택하는 것은 어쩌면 순진하다. 한창 시끄러운 저작권법 개정은 그러한 울부짖음이다.
제발 적당히 좀 해달라는 것이다. 이는 법의 확성기를 빌린 호소이다.
기술에 의해 충돌 당한 문화의 아우성인 것이다.

그러나 IT가 알아서 꼬리를 내려 주기를 바랬다면, 이는 안이한 착각이다.
MP3나 오그보비스 따위 사라져 주었으면 하고 간절히 바라겠지만,
다시 예전처럼 CD를 군말 없이 사주기를 바라겠지만 그렇게 되지 않는다.
그러기 싫어서가 아니다. IT도 그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영화계와 음악계는 IT를 탓하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IT야 말로 불법 복제의 가장 큰 피해자였다.
소프트웨어 불법 복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콘프레이크를 팔 듯 소프트웨어를 박스에 담아 파는 일은 완패했다.
남의 일이라 안타까워하던 그 덫에 이제 문화가 걸려 든 것이다.
소프트웨어라는 개념에 돈을 지불하는 습관을 배우지 못한 우리가 과연
문화라는 개념에 다른 태도를 취할 수 있을까?

IT는 여전히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는 만들어지고 있고,
수익을 내는 기업은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세태를 탓하며 사그라지는 기업이 있는 반면,
화려하게 등장하여 우리를 탄복하게 만드는 신성들도 있다. 그들은 게임 패키지가 팔리지 않자,
온라인 게임을 만들었다. 그들은 불법 복제가 성행하니 구독형 시스템을 만들었다.
그들은 새로운 신천지를 찾아 휴대폰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 그들은 무언가를 잃고 무언가를 찾았다.
서서히 충돌의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는 것이다.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IT는 많은 업계와 좌충우돌하며 그들을 변화시키고 있다.
IT는 언론과 충돌하였다. 종이 신문은 위태로워 졌지만,
누군가는 블로그로 미디어의 대중화를 이루어 내고 있다.
IT는 출판과 충돌하였다. 이제 우리는 사전과 편람을 뒤지는 대신 검색어를 입력한다.
IT는 상업과 충돌하였다. 수많은 중간거래상은 인터넷쇼핑에 의해 직거래로 대체되었다.



충돌은 무너지며 기회를 만든다. 누군가는 쇠하고 누군가는 흥한다.
충돌의 먼지 속에서도 누군가는 어딘가에 빨대를 꽂아 수익을 빨아들이고 있다.

누군가가 CD가 팔리지 않는다며 네티즌을 증오하는 동안,
애플은 아이포드와 아이튠스로 돈을 버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다.
누군가는 DVD가 팔리지 않는다며 DivX를 씹어대는 동안,
액션 피겨를 동봉한 DVD들은 계속 매진을 기록하고 있다.
잃어버린 것에 집착하는 이가 있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이가 있다.

현대의 IT는 "자기가 필요한 것을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취한다"는 명제를 불멸의 테마로 삼고 있다.
효율화와 최적화를 도그마로 삼는 업계답다. 문화는 IT와 충돌한 이상,
이전으로의 회귀는 아쉽게도 불가능하다. MP3를 들고 다닌 이래
CD플레이어는 서랍 속으로 들어가 버린 지 오래다.
이 사태에 탓이 있다면 그것은 IT의 본질이지, 특정 기술이 아니다.

시스템이 제시한 틀에 안분지족하던 상인이 자신이 지불한 만큼의 가치를
정확히 받고 싶어 하는 영특해진 고객들을 상대하기 벅찬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법의 힘을 빌어 섣불리 대중을 길들이려 한다거나,
교화시키려 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소비자와 등지고 흥할 수 있는 산업은 그리 많지 않다.
한 때 음반업계는 냅스터를 붕괴시키고 쾌재를 불렀다.
그러나 밟으면 밟을수록 다시 피어나는 수많은 P2P들이 그들을 맞았다.
IT가 와레즈에 대해 느꼈던 그 무력감을 이제 겨우 문화계는 느끼기 시작한 것뿐이다.

기술은 문화의 적이 아니다. 문화 제작의 시스템화는 콘텐츠의 양산 능력을 가속시킨다.
케이크워크, 큐베이스, 로직 등이 현대 음악에 미친 영향을 잊어서는 안 된다.
영화 '월드 오브 투모로우'나 '인크레더블'은 문화이기에 앞서
오히려 IT의 하나의 응용예로 여겨질 정도이다. 그러나 아무리 음향에서 어쿠스틱이 증발되고,
스크린에 CG가 난무해도 이를 두고 통곡하지는 않는다. 시대가 그럴 뿐이다.
기득권을 배제한 채 24시간 돌아가는 P2P에 좌절할 이유도 없다. 시대가 그럴 뿐이다.

그리고 어느 시대에도, 잃어버린 것에 집착하는 이가 있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이가 있을 뿐이다.

김국현 (IT 평론가)

출처 : ZDNet Korea




하고싶은 말을 골라서 써놓은.....
  • ?
    ラプリユズ 2005.01.28 23:45
    반반. 써머리 해... 누나 눈 아프잖아..
  • ?
    루인 2005.01.28 23:47
    스크롤의 압박에 다 읽지는 못했지만.. 빠른시일내로 네티즌과 제작자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으면.
  • ?
    KidUnStaR 2005.01.28 23:58
    요약하자면 음협 등에 경고하는 글이군요... "소비자와 등지고 흥할 수 있는 산업은 그리 많지 않다."
  • ?
    모노크롬 2005.01.28 23:58
    MP3에 문제가 있는게 아니고 우리가 너무 '남의 것'에 대한 개념이 없어졌다는게 더 문제가 아닐런지..
    그걸 인식시켜주기 위한 순차적 접근 방법이 틀렸기때문에 또는 너무 광범위했기 때문에 네티즌이 분노하는것이 아닐까요?
    그러나저러나 저 아저씨 말이 너무 어렵네..
  • ?
    KidUnStaR 2005.01.28 23:59
    윈윈보다는... 제로섬 게임이 될 듯 합니다. -_-
  • ?
    KidUnStaR 2005.01.29 00:00
    저 사람은 그나저나 똑같은 말을 단어만 바꿔가면서 계속 하는군요. 공들여 어렵게 써가며 아는체 열심히 했네요 박수 -┏
  • ?
    카이엔_ 2005.01.29 00:20
    뭐, 맞는 말 했네요. 요약하자면 음협더러 소비자 열받게 하지말고 새로운 방법을 찾으라는 뜻.
  • ?
    Apres midi 2005.01.29 02:10
    으음.. 다나와사이트 에서 보았던 칼럼이군요..
  • ?
    Noname 2005.01.29 02:33
    근데 애플이 아이튠+아이팟조합으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했는데 아이튠에 온라인샵을 이용해 유료음원을 다운받고 그걸 아이팟으로 전송시켜 듣는겁니다. 결국 음협이 추진하려는 유료mp3체제와 같은 맥락이란거죠. (하나 딴지 걸자면 이런방식의 수익창출은 Sony가 맨 처음했죠.. 소닉스테이지를 이용해서 유료atrac음원판매 ^^;;)

    애국가에도 저작료를 지불하라는 어이없는 단속방침이나 미발매음원까지도 강한 제한을 거는건 개선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무료 mp3다운로드를 당연시 여기는 네티즌들에 의식전환도 꼭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시대가 그런거니까 새로운대안이나 찾으라는 글을 쓰는 이 기자분에 의식전환이 가장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P.S 그나저나 시대가 그런거니 법에 의존할 생각말고 새로운방법이나 찾으란 말을 뭐 저리 어렵게 풀이했는지 -_-;;
  • ?
    uzini 2005.01.29 06:07
    정말 맞는말이네요~ 시대가 그런거죠..
  • ?
    냐옹냐옹~ 2005.01.29 11:25
    몽땅 때려 잡아야함
  • ?
    dirajrdmftlrks 2005.01.29 11:28
    그래도 CD가 소장하기에는 좋은;
    저는 CD사면 ogg파일로 뜨고 고이 봉인해놓습니다
  • ?
    괭이눈 2005.01.29 13:31
    대중문화 자체가 대중문화를 소유하고 소화하는 '대중'들을 위한 것인데 대중을 무시하고 자기네들 법에 무조건
    따르라는 식으로 가면 대중들이 외면할테고...뭐, 대중문화의 자연붕괴만 남겠죠=ㅂ=.....[자멸하라 음협-_-;;]
  • ?
    유경화 2005.02.03 16:41
    mp3, divx 자체가 문제가 되는게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라고 봅니다, 공짜를 당연히 하는건 문제가 있으니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가입인사는 여기에 코멘트로 남겨 주세요! 1654 지음아이 2007.10.31 811118
공지 서로를 배려해주는 지음아이인이 됩시다! 111 지음아이 2006.08.27 562561
공지 질문은 메인 화면 왼쪽 질문과 답변을 참조하세요! 72 지음아이 2004.02.19 594718
29499 호오 +ㅁ+/// 2 2005.01.28 1253
29498 열혈쇼핑 했지만;ㅁ;........OTL 9 uzini 2005.01.28 1362
29497 아아, 아라시 버닝모드..ㅠ_ㅠ 13 귀하신몸v 2005.01.28 1397
29496 도서관 갔다가 지겨워서 들렀습니다.. -_-; 5 로이히르 2005.01.28 1200
29495 이번에 두애즈 ROBOT PV... 8 카이엔_ 2005.01.28 1576
29494 오리콘 데일리 싱글/앨범 챠트 (2005年1月27日) 25 판~★ 2005.01.28 1394
29493 차두리의 압박.. 2 반토미코 2005.01.28 1358
29492 잔다르크.... 27 리아트리스 2005.01.28 1504
29491 우리모두 판타스티포 춤을 외워서 따라춥시다!!!! 25 아리엘 2005.01.28 1362
29490 아라시 멤버들의 라디오를 들을때면 ..(+ 쇼쿤의 새 CM 6 달빛소년♥ 2005.01.28 1455
29489 오늘 한 수퍼 라이브 인 서울! 방금전 다녀왔어요>_<ㅎㅎ 9 mellow 2005.01.28 1481
29488 WATER BOYS ... 11 판~★ 2005.01.28 1244
» MP3가 사라져 주기를 바라기 전에.. 14 반토미코 2005.01.28 1202
29486 2번만들으십시오. 당신을 괴롭힐겁니다 18 아키라 2005.01.28 1362
29485 레모니아.. 2 Falcon 2005.01.29 1781
29484 킨키키즈 노래요..~_~ 16 うらうらら 2005.01.29 1627
29483 일본어 질문좀 할께요... 2 오청해 2005.01.29 1297
29482 이제야 게시판이 바뀐걸 알아버렷네 ; 2 PigZzb 2005.01.29 1470
29481 M.C The Max노래가요-ㅁ- 13 ギゴ 2005.01.29 1368
29480 낮과 밤이 바뀐생활을-┏ll 14 ★妙 2005.01.29 1281
Board Pagination Prev 1 ...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 1198 1199 ... 2669 Next
/ 266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