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시모토 바나나

by 슈리 posted Jun 11, 200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제가 일본 작가중에 두번째로 좋아하는 작가입니다.

첫번째는 무라카미 류.. 한없이.. 보고 푹빠져서 아직까지 빠져서 헤어나오질 못하는..-_-;;



요시모토 바나나.. 처음에 이름을 들었을 때는 좀 웃겼습니다.

바나나..-_-;;

그런데 그녀의 글을 읽고는 그만 푹 빠져버리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필명이 왜 바나나일까라는 것을 어렴풋이 알게 되었죠.

물론 제 생각일 뿐이지만요..^^;

노랗고 길다란 것.달콤한 향이 나고 한입 베어 먹으면 입안 가득한 그 바나나향과 달콤함에 매료되어버리는,

또 그 달콤한 맛과 향 독특한 모양으로 사람들을 행복하게 한다는 것.  


아무런 군살없는 깔끔한 문체.

글속에 묻어있는 따듯함.

글이라는 표현 수단을 너무나 잘 사용하는.. 그녀만의 독특한 문체.

읽어보신 분들은 아실껍니다... 흐흐..








그녀의 책속에는 항상 죽음이 등장합니다.

부정적인 시각에서의 죽음이 아닌 긍정적인 시각에서의 죽음.

그녀는 죽음이라는 존재를 통해서 삶에 대한 rebirth 그리고 있는 듯 합니다.

그녀의 글속에서는 미움이 없습니다.

하치의 마지막 연인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녀의 글에는 미움이 없습니다.

미움보다 슬픔이나 두려움. 인간이 잃어버릴 수 있는 모든 것에 대한 그러한 슬픔 두려움 그리움을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녀의 글에 더 눈이가고 더 그녀의 글을 읽고 싶어 하는지도 모르겠어요.







그녀가 바라보는 죽음.

그것 삶에대한 재생(再生).

키친에 등장한 주인공의 할머니도. 자식을 위해 아버지에서 어머니가 된 에리코상도.

암리타의 주인공의 동생도. 하치의 마지막 연인에 나오는 할머니도 하치의 그녀도

문라이트 쉐도우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남자친구와 그의 남동생의 여자친구도.

슬픈 예감의 주인공의 부모님 . 물거품의 주인공의 할머니

전부 그녀들에게 다시 살아갈 수 있는 용기를 불어넣어 주는 존재로 그렇게 등장 합니다.

죽음이라는 것이 슬프고 안타깝고 두려운 현실이지만,

그녀에게 있어 죽음은 그러한 모든 것을 초월하여, 다시 한번 삶을 재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역활인 듯 합니다.



그녀에게 있어서의 진정한 죽음이라는 것은, 외로움.. 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 버린 외로움이라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에 대한 외로움이라고 해야 할까요..?

문장력이 딸리는지라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그 느낌만은 아시리라 생각해요.

요시모토 바나나의 소설을 처음 읽었을 때 (푸른 방이 였죠 한국에서 출간된 책 제목이... 단편집. 제목이 맞는지 기억이 안나는데.;;)

그 뒤 하치의 마지막 연인이나. 암리타등을 읽었을 떄.

왠지 한 없이 그리운 느낌이 밀려오면서 무언갈 찾고 싶다고 느꼈습니다.

그 찾고 싶은것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무언가 내가 잃어버렸던 것을 찾고 싶다는 그런 느낌.

지금 생각해 보니 自我인것 같기도 한.. 뭐 그런 느낌입니다..^^;







요시모토 바나나.

그녀는 인간으로써 인간을 바라 봅니다.

그녀만의 간결하고 깔끔한 문체로. 그녀만의 독특한 문장력으로

매료시키고 현혹시키면서.. 끄끝내 놔주질 않는 그런 매력적인.. 그녀..




그녀가 그녀의 소설로 이루어지길 바라는 것.




문 라이트 쉐도우에 나오는 그녀의 말.

私は幸せになりたい。
そして、私の愛する人たちがすべて幸せになるといいと思う。

나는 행복해지고 싶다.
그리고, 내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두 행복해진다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추적추적 비가와서 쓸쓸한 기분이 드는 밤이지만.

행복한 저녁 되시길..^^